본문 바로가기

나무 도감 공부

(692)
피나무 vs 섬피나무 : 무엇이 서로 다를까? 1361 피나무 Tilia amurensis (꽃피나무. 달피나무) 피나무과 ​ 1362 섬피나무 Tilia insularis 피나무과 ​ ​ {박쥐처럼 거꾸로 매달려 피는 꽃! 피나무 vs 섬피나무}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피나무는 나무껍질이 질기면서도 부드럽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밧줄을 만들거나 매트를 만들 때, 어망 또는 섬유 재료로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 피나무라는 이름은 나무껍질이 쓸모가 많은 나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 또 피나무 목재는 뒤틀림이 적어 가구나, 악기, 바둑판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 무엇보다도 피나무는 6월 꽃이 피었을 때 그 달콤하면서 기분 좋은 향기..
계요등 vs 털계요등 vs 좁은잎계요등 :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1904 계요등 Paederia scandens var. scandens (계뇨등. 구렁내덩굴) 꼭두서니과 ​ 1905 털계요등 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 (우단계요등) 꼭두서니과 ​ 1906 좁은잎계요등 Paederia scandens var. angustifolia (가는잎계뇨등) 꼭두서니과 ​ ​ {냄새난다고 푸대접하지 마세요! 계요등 종류들 }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계요등의 꽃은 참 특이하면서 재미있는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 꽃의 겉은 에델바이스를 연상시키는 흰 빛을 띄고 꽃부리통부의 안쪽은 붉은 자주색인데 거기에는 흰색 털이 빽빽하게 많이 있습니다. ​ 이 꽃이 무슨 ..
짝자래나무 vs 갈매나무 : 무엇이 서로 다를까? 1335 짝자래나무 Rhamnus yoshinoi (자래나무. 민연밥갈매. 만주갈매나무) 갈매나무과 ​ 1333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갈매나무과 ​ ​ {짝자래나무 vs 갈매나무}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짝자래나무는 갈매나무와 너무나 비슷하여 대부분의 사람들은 짝자래나무를 갈매나무로 착각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 두 나무는 잎의 배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갈매나무 : 마주나기(대생) 짝자래나무 : 어긋나기(호생) ​ 두 나무는 꽃자루의 길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갈매나무 : 7~8mm 짝자래나무 : 7~15mm ​ 두 나무는 잎자루의 길이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갈매나무 : 15~40mm 짝자래나..
갈매나무 vs 참갈매나무 vs 오리갈매나무 : 무엇이 서로 다를까? 1333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갈매나무과 ​ 1334 참갈매나무 Rhamnus ussuriensis 갈매나무과 ​ 1332 오리갈매나무 Rhamnus frangula (프랑굴라갈매) 갈매나무과 ​ ​ {갈매나무 vs 참갈매나무 vs 오리갈매나무}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갈매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과 중국 그리고 러시아의 동쪽 지방에 분포하여 살고 있는 나무입니다. ​ 갈매나무는 어린 가지의 끝이 가시로 변하고 가끔 어린 가지는 굵은 줄기가시(경침)로 변한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반면 오리갈매나무는 가지의 끝이 가시로 변하지 않습니다. ​ 갈매나무의 잎은 길이가 최고 10cm..
까마귀베개 vs 망개나무 vs 대추나무 : 무엇이 어떻게 다를까? 1330 까마귀베개 Rhamnella franguloides (가마귀베개. 푸대추나무. 헛갈매나무) 갈매나무과 ​ 1331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ifolia 갈매나무과 ​ 1338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대추) 갈매나무과 ​ ​ {대추나무의 사촌! 까마귀베개 vs 망개나무}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가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까마귀베개의 열매는 대추에 비하여 열매 크기가 작고 볼품이 없기 때문에 ‘푸대추나무’라는 다른 이름도 가지고 있습니다. ​ 또 중국에서는 열매의 모양이 고양이의 젖꼭지를 닮았다고 하여 묘유(猫乳)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 까마귀베개의 열매는 소시지 모양의 작디작은 열매..
인가목 vs 긴생열귀 vs 해당화 : 무엇이 서로 다를까? 1001 인가목 Rosa acicularis (금강찔레. 민둥인가목) 장미과 ​ 1000 긴생열귀 Rosa davurica var. ellipsoidea (긴열매해당화) 장미과 ​ 004 해당화 Rosa rugosa 장미과 {인가목 vs 긴생열귀 vs 해당화} ​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긴생열귀는 얼마 전까지 따로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재되어 있었지만 최근에 긴생열귀를 생열귀와 같은 나무로 통합하였습니다. ​ 긴생열귀와 인가목은 어린 가지에 털이 없지만 해당화는 어린 가지에 털을 가지고 있으면서 가시에도 털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그러나 3종류의 나무는 아래와 같은 서로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 ..
'나만의 나무도감 만드는 방법'과 '이 채널을 만든 이유' : '나무도감의 사진찍는 요령'에 관한 이야기 이 채널은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 책을 펴서 나무공부하는 곳입니다. ​ #식물도감 #나무도감 #사진찍는요령 ​ 오늘은 이 채널을 개설한 이유 그리고 나무도감 책을 만들기 위하여 사진을 찍는 요령과 나무도감을 만들기 위한 사진 배열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 ​ ++++++++++++++++++++++++++++++++++++++ 00:00 '나무 도감 공부'라고 하는 채널을 만든 이유 01:47 책을 펼쳐서 나무마다 15장의 사진이 어느 위치에 어떤 사진이 들어갔는지 설명 07:54 사진을 찍어 모으는 과정과 나무의 어떤 부분을 정확하게 찍어야 하는지 설명하면서 나만의 나무도감을 만드는 요령을 설명. ​ ++++++++++++++++++++++++++++++++++++++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노란해당화 vs 노란해당화 '카나리버드' vs 해당화 : 무엇이 서로 다를까? 1002 노란해당화 Rosa xanthina 장미과 ​ 1003 노란해당화 '카나리버드' Rosa xanthina 'Canary Bird' 장미과 ​ 1004 해당화 Rosa rugosa 장미과 ​ ​ {노란해당화 vs 노란해당화 '카나리버드'} ​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해당화는 분홍색과 다홍색에 보라색이 은은히 섞인, 그러니까 자홍(紫紅)색의 꽃이 핍니다. ​ 해당화에 비해 노란해당화는 꽃의 색깔이 노란색이면서 겹꽃이 핀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노란해당화 '카나리버드'는 노란해당화에 비해 홑꽃이 핀다고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 '카나리버드'는 카나리아 새를 말하고 카나리아 새는 참새 크기와 비슷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