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 도감 공부

소철(蘇鐵) 꽃의 구조 : 암배우체(대포자구화), 수배우체(소포자구화), 큰홀씨잎(대포자엽), 작은홀씨잎(소포자엽), 작은홀씨주머니(소포자낭),

0001 소철 Cycas revoluta ( #蘇鐵, #蘇鉄, #피화초, #避火蕉, #풍미초, #봉미초, #鳳尾蕉, #봉미송, #鳳尾松, #철수 #鉄樹, #철초, #鉄蕉, #무루자, #無漏子, #cycad, #사고야자, #Sago_palm, #King_sago, #Sago_cycad, #Japanese_sago_palm, #PalmSago_Palm)소철과

{이 꽃을 본 사람에게 행운이 찾아 온다}

{쇠못을 박으면, 죽던 나무가 다시 살아난다!}

{정말 100년에 한 번 꽃이 필까??}

{3억년 전부터 기름까지 살아남은 나무}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소철 #정보 ★★★

소철 Cycas revoluta 소철과

▶( #특징)

소철은 은행나무와 마찬가지로

중생대(中生代) 쥐라기(Jurassic period, 2억 년~1억 4500만 년 전)

지층에서 다수의 소철속(蘇鐵屬, Cycas) 화석(化石)이 발견되고 있어

소철을 살아있는 #화석이라고도 합니다.

소철이 꽃을 피우기 위해서

50년에서 100년이 걸린다고 하는 말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소철꽃이 한 번 피고 나면

20년마다 다시 꽃이 피는데,

그만큼 꽃을 보기 어려워

'100년에 한 번 핀다'고 하고,

‘꽃을 본 사람에게 행운을 가져다 준다’는

속설(俗說)이 생겨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들은 매년 같은 나무에서

소철 꽃이 피는 것을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50년, 100년이라는 말은 과장된 표현이라고 생각됩니다.

소철을 과거에는 침엽수의 일종으로 분류하였으나

은행나무처럼 정자를 생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현대에는 침엽수도 아니고, 활엽수도 아닌

별도의 분류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학명, #어원, #속명, #종소명, #명명자, #변종, #품종, #유래)

소철 Cycas revoluta #키카스_레볼루타

◇ 소철(蘇鐵)은 철분(鐵分)을 좋아하는 나무이므로

나무의 세력이 쇠약해졌을 때나 소철이 시들었을 때,

철분을 주거나, 나무 밑동에 쇠부스러기를 뿌려주거나,

나무에 쇠못을 박으면 다시 살아나 소생(蘇生)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소철은 목재의 밀도가 높아 물에 들어가면 가라앉고,

철(铁)만큼 무거워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조선 선조 때의 학자인 이수광이 지은 지봉유설이라는 책에서는

‘소철나무가 마르면 나무를 뽑아서 3, 4일 동안 볕에 내 놓았다가

줄기에 못(鐵)을 박은 다음 도로 땅에 심으면 살아난다(蘇)’고

기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거의 죽어가다가 다시 살아난다는

소생할 소(蘇)'자와, '쇠 철(鐵)'자를 써서

이름을 '소철(蘇鐵)'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소철은 생명력이 강하기로 소문 난 나무이기도 합니다.

#속명(屬名) #키카스 #Cycas는

‘야자나무(palm tree)’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인

'키카스(kykas)'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종소명(種小名) #레볼루타 #revoluta는

소철의 #소엽( #작은잎)의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 #원산지, #분포, #자생지, #재배)

소철은 #열대나 #아열대 지방의 식물입니다.

소철은 일본이 원산지이며 일본 #큐슈(九州), #오키나와(沖縄),

#중국의 남부지방 및 #대만 등지에 분포하여 살고 있습니다.

#일본 가고시마현(鹿儿岛县) #아마미오시마(奄美大岛)의

#안키야바(安木屋场)에는 약 6만 그루의 소철이

산 전체를 덮고 모여 살고 있는 자생지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제주도에서는 뜰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한반도에서는 #온실이나 집안에서

#관상용으로 키우고 있는 나무입니다.

일본, 중국, 타이완 등 자생지에서는

#해안가에 분포하여 살고 있습니다.

▶( #생육환경, #재배 특성)

소철은 따뜻하고 습하면서 #햇볕이 잘 드는 환경을 좋아합니다.

소철은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고

#추위에도 약한 나무입니다.

소철의 성장은 높이 6~7m까지 자랄 수 있는데

이렇게 자라기 위해서는 무려 50~100년 이상의

오랜 세월이 소요될 만큼 생장이 매우 느리며

소철의 수명은 1,000년 이상이라고 합니다.

▶( #번식, #증식 방법)

소철은 #씨앗이나 #꺾꽂이( #삽목),

#뿌리나누기( #분주)로 번식합니다.

▶( #크기, #키, #줄기, #나무껍질, #수피, #가지, #생육 형태)

소철은 높이 1~7m 정도 자라는

#늘푸른( #상록) #떨기나무( #관목)이거나

#작은키나무( #소교목)입니다.

소철의 줄기는 곧게 위로 치솟으며 줄기에는 #곁가지가 없습니다.

소철은 줄기가 하나로 자라거나 밑부분에서 작은 것이 돋기도 합니다.

곧게 선 줄기 끝에서 새잎이 돌려나 우산을 편 것같고

기존 잎은 지면서 줄기가 점점 커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줄기는 #잎자국( #엽흔)이 둘러싸고 있으며

줄기 끝에서 많은 잎이 돌려달려 사방으로 퍼집니다.

▶( #꽃)

소철은 #암수딴그루입니다.

#수배우체( #소포자구화)는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60cm, 지름 10~ 13cm의 기둥모양으로서

많은 #작은홀씨잎( #소포자엽)으로 구성된

#솔방울( #구과)모양입니다.

#작은홀씨잎( #소포자엽)은

길이 3.5-6cm, 폭 1.7-2.5cm 정도이고

끝은 둥글고 뾰족합니다.

수배우체의 #작은홀씨잎( #소포자엽) 아래쪽에

#작은홀씨주머니( #소포자낭)가 빽빽하게 많이 있습니다.

#암배우체(대포자구화)는 원줄기 끝에

#납작한공모양( #편구형)으로

#큰홀씨잎(대포자엽 大胞子葉 megasporophyll)이 모여 달리고

큰홀씨잎은 길이 14~22cm 정도이며,

큰홀씨잎 하나에 3~5개의 #밑씨( #배주)가 드러나 있습니다.

큰홀씨잎에는 황갈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많습니다.

자생지에서 6~8월에 꽃이 핍니다.

소철(蘇鐵)의 #꽃말은 '강한 사랑'입니다.

▶( #잎)

소철의 잎은 #홀수깃꼴겹잎( #기수우상복엽)입니다.

깃꼴겹잎은 길이 50~150cm 정도이므로

소철을 '파초 잎처럼 커다란 잎을 가진 식물'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깃꼴겹잎은 소철의 줄기 위쪽 끝에 달리며,

겹잎에는 60~150개 정도의 #작은잎이 어긋나게 달립니다.

작은잎은 #줄꼴( #선형)이고

잎의 가장자리가 다소 뒤로 말립니다.

작은잎( #소엽)은 길이와 폭이 각 8 ~ 20cm × 5 ~ 8cm이며

#잎끝( #엽두)은 날카롭게 뾰족하고,

잎 뒷면에 털이 촘촘하게 많습니다.

잎 표면은 반짝이는 광택이 있습니다.

#잎줄기( #엽축)는 길이 10~20cm 정도이고

6~18개의 #가시가 있으며 강하게 휘어져 있습니다.

잎은 보통 3~10년간 붙어 있습니다.

 

잎을 먹어보면 #매운맛이 납니다.

▶( #열매)

씨앗은 길이 3cm정도로 편평하고

#겉씨껍질( #외종피)은 붉은색이며

10월에 익습니다.

익은 씨앗 말린 것을 #무루자( #無漏子)라고 합니다.

▶( #이용 방안, #용도)

소철은 자태가 우아하고 줄기가 굵으며

쇠처럼 단단하고 깃털처럼 생긴 잎이 매끄럽고 윤기가 나며

일년 내내 상록수로 자라면서

키가 크면서 이국적인 형태가 더해져서

야자수와 더불어 열대 지역의 분위기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기 때문에

우리나라 남쪽 지역의 공원이나 정원에

조경수나 관상수로 심어 기르고 있습니다.

소철의 열매는 #식용, #약용으로 이용합니다.

소철의 원줄기에서 전분이 많아

#독성을 제거한 후 우려내고 갈아서 식량으로 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소철에는 #사이카신( #Cycasin)이라는

소철 고유의 #독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함부로 섭취하면 안 됩니다.

특히 씨앗에 이 물질이 최고로 많이 몰려 있는데,

이 독성을 #제거하지 않은 씨앗을 섭취하면

단기적으로 #경련, #구토, #설사, #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장기간 소철을 섭취하면 #암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씨앗에는 #신경독성이 있으므로,

씨앗을 먹은 #소가 마비를 일으킬 수 있고,

#쥐나 #황금들쥐의 태아가

#소두증(小头症, Microencephaly)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 #한방, #약효, #약용, #약리 효능)

소철의 뿌리, 열매, 꽃, 잎을 약으로 씁니다.

잎은 각종 출혈(各种出血), 위염(胃炎), 위궤양(胃溃疡), 고혈압(高血压), 신경통(神经痛), 폐경(闭经), 암증(癌症) 치료제로 쓰입니다.

꽃(花)은 위통(胃痛), 유정(遗精), 백대(白带), 월경통(痛经)을 치료합니다.

씨앗은 #고혈압(高血压) 치료에 씁니다.

뿌리(根)는 #보신(补肾)의 효능이 있습니다.

***************

아래를 클릭하여 동영상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53FO_ESBkN4

*****************************************

▶유튜브 나무 도감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hXth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