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도감 공부

박태기나무 vs 캐나다박태기나무 열매는 이렇게 달라요 : 꼬투리열매(협과), 쪽꼬투리열매(골돌), 작은키나무(소교목), 떨기나무(관목)

박승철 나무 도감 2025. 4. 24. 07:25

1109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 #구슬꽃나무, #밥태기꽃나무, #밥풀떼기, #밥티나무, #칼집나무, #소방목, #蘇芳木, #자형, #紫荆, #자형근, #자형피, #나지수, #裸枝树, #중국붉은부추, #Chinese_redbud, #하나즈오우, #ハナズオウ, #화소방, #花蘇芳,) #콩과

1106 #캐나다박태기나무 Cercis canadensis ( #아메리카박태기, #Love_tree, #Redbud, #Eastern_Redbud) 콩과

1107 #캐나다박태기나무 ' #포레스트_팬지' Cercis canadensis ' #Forest_Pansy' 콩과

{박태기나무 vs 캐나다박태기나무 : 이렇게 달라요!}

{박태기나무 vs 캐나다박태기나무 : 열매는 이렇게 달라요!}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박태기나무 #정보 ★★★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콩과

▶박태기나무 vs 캐나다박태기나무 이렇게 달라요!

◇ 꼬투리열매(협과)의 모양

박태기나무 : 낫처럼 구부러져 휜다.

캐나다박태기나무 : 구부러지지 않고 곧다

◇ 꼬투리열매(협과)의 길이

박태기나무 : 7~12cm

캐나다박태기나무 : 5~7cm

◇ 줄기

박태기나무 : 밑부분에서 여러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캐나다박태기나무 : 주로 원줄기(주지)하나가 올라와 곧게 자란다.

◇ 나무의 키(높이)

박태기나무 : 2~5m의 작은키나무(소교목)

캐나다박태기나무 : 6~9(~12)m의 큰키나무(교목)

◇ 원산지

박태기나무 : 중국

캐나다박태기나무 : 북아메리카 동부지방

◇ 추위를 이기는 힘

박태기나무 : 추위에 강하다.

캐나다박태기나무 : 추위에 약한 편이다.

▶( #학명, #어원, #속명, #종소명, #명명자, #변종, #품종, #유래)

박태기나무 Cercis chinensis 케르키스 차이넨시스

◇ ‘박태기나무’ 이름의 유래

박태기나무는 꽃이 피기 전,

붉은 자줏빛의 작은 꽃봉오리들이

가지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모습이

마치 밥알, 특히 튀긴 밥알과 비슷하게 보입니다.

꽃의 색깔이 자주색이니

쌀밥풀이 아니라 조나 수수의 밥풀을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 같습니다.

경상도와 충청도 등 중부 지방에서는

밥풀을 ‘밥티기’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러한 방언이 박태기나무 이름에 영향을 주어

처음에는 ‘밥풀떼기나무’, ‘밥티나무’, ‘밥티기나무’라고 불리다가

점차 발음이 변하여 ‘박태기나무’로 굳어졌다고 합니다.

#속명(屬名) #Cercis 케르키스는

고대 그리스어 'kerki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kerkis'는 천을 짜는 베틀에 실이 왔다 갔다 하게 하는

북이나 직물의 바늘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이름이 붙은 이유는

박태기나무를 비롯한 박태기나무속 식물들의

열매 꼬투리 모양이 길고 납작한 형태를 띠는데,

이것이 마치 베틀의 북이나 직물의 바늘과

비슷하게 보이기 때문입니다.

#종소명(種小名) #chinensis 차이넨시스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chinensis'는 라틴어 형용사로

‘중국의’ 또는 ‘중국 원산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따라서 종소명 'chinensis'는

박태기나무의 원산지가 중국임을 나타냅니다.

이 식물이 처음 학계에 보고될 때

중국이 주요 자생지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게 된 것입니다.

▶( #원산지, #분포, #자생지, #재배)

박태기나무의 원산지는 중국입니다.

중국의 남부, 중국 중부와 북부지방,

만주 지방에도 분포하여 자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오래전부터 관상용으로 들여와

전국 각지의 사찰, 학교 정원, 공원, 가정집 정원 등에

심어 기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해발 400~800m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박태기나무속 (Cercis) 식물은

지중해 연안, 중앙아시아, 동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도

약 6종이 분포하여 살고 있습니다.

▶( #생육환경, #재배 특성)

박태기나무는 비교적 추위와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며,

햇볕이 잘 드는 양지쪽에서도, 반그늘에서도 잘 자랍니다.

추위에 강하면서 수분요구도와 비옥도가 낮아

황폐지나 척박지에 심어도 잘 자랍니다.

토질은 배수가 잘되면서도 보수력이 있는

비옥한 사질 양토가 좋습니다.

한번 뿌리가 붙으면 뿌리로 질소를 고정하여

생존할 수 있는 강한 나무입니다.

#옮겨심기( #이식)는 쉽지 않습니다.

박태기나무는 뿌리가 땅속으로

곧고 깊게 뻗는 #직근성이면서

실뿌리가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포기나누기할 때는 주의하여야 합니다.

박태기나무는 #가지치기( #전정)도 가능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박태기나무는

조경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 #번식, #증식 방법)

박태기나무는 #씨앗으로 번식하면

파종한 묘는 첫해는 더디게 자라지만

다음 해부터는 50cm 이상씩 자라므로

2년째 봄에 한 번 이식하여

거름을 잘 뿌려 토지를 걸게 하여

비배관리(肥培管理)하면 3년째부터는 꽃이 핍니다.

#포기나누기( #분주) 방식은

뿌리 쪽에서 곁가지가 나오므로

흙을 북돋아 주었다가 뿌리가 나면 잘라 독립시킵니다.

3-4월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잘라 #꺾꽂이( #삽목)합니다.

장마철에 약간 굳어진 가지를 잘라

#꺾꽂이( #삽목)할 수도 있습니다.

▶( #크기, #키, #줄기, #나무껍질, #수피, #가지, #생육 형태)

박태기나무는 높이 2~5M 정도 자라는

#갈잎( #낙엽) #떨기나무( #관목)입니다.

땅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형성합니다.

어린 가지에는 #껍질눈( #피목)이 많이 있습니다.

#나무껍질( #수피)은 회갈색이며

#겨울눈( #동아)은 검은색입니다.

▶( #꽃)

박태기나무는 4~5월에

강렬한 짙은 보라빛 분홍색 꽃이

무리 지어 피어 화려한 자태를 뽐냅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며 길이 6~15mm 정도입니다.

#쌍성꽃( #양성화)은 7~8개(20~30개)씩 무더기로 모여

#우산꽃차례( #산형화서)를 이루고,

꽃대가 없으며 #작은꽃자루( #소화경)는

길이는 6~15mm 정도이며,

작은꽃자루 2/3 정도에 마디가 있습니다.

꽃잎은 4장이며

#기꽃잎( #기판)의 길이가 가장 짧습니다.

#용골꽃잎( #용골판) 안에

10개의 수술과 하나의 암술이 있습니다.

수술은 길이 10~12mm 정도이고,

암술은 길이 10mm 정도이므로

암술은 수술에 가려 잘 보이지 않습니다.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의 꽃에는

약간의 독성이 있습니다.

박태기나무 꽃을 소량 섭취할 경우에는

맵고 아린 맛이 느껴지는 정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양을 섭취할 경우에는

소화기 계통 문제가 발생하여

복통,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지럼증, 두통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박태기나무꽃의 독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박태기나무 꽃의 독성을 제거하는 특별한 방법은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애초에 먹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만약 실수로 박태기나무 꽃을 섭취하여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1. 입안을 깨끗하게 헹굽니다.

2.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3.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섭취한 양과 증상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박태기나무의 줄기 껍질과 뿌리껍질은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지만,

꽃에는 독성이 있기 때문에 섭취에 주의해야 합니다.

일부 문헌에서는

박태기나무 전체에 약한 독성이 있다고도 하므로,

약용으로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꽃에는 꿀이 많아서 벌들에게 더없이 좋은

밀원식물이기도 합니다.

박태기나무의 꽃말은 '우정', '의혹'입니다.

▶( #잎)

박태기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달리며

#잎끝( #엽두)은 급하게 뾰족해지는 #뾰족끝( #예두)이고

#잎밑은 #염통꼴밑( #심장저)입니다.

잎은 #하트모양( #심장형, #염통꼴)이고

두꺼운 #가죽질( #혁질)이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습니다.

잎은 길이 5~10cm로 표면은 광택이 있으며,

털이 없습니다.

잎 아래에는 5갈래로 갈라지는

손바닥 모양의 맥이 발달하였고

뒷면 맥 아랫부분에 잔털이 있습니다.

#턱잎( #탁엽)은 일찍 떨어지는데

비늘 모양이거나 얇은 막 모양입니다.

잎은 10월에 노란색으로 단풍이 듭니다.

▶( #열매)

박태기나무의 #꼬투리열매( #협과)는

낫처럼 구부러져 휩니다.

열매는 늦여름(9월), 납작한 콩깍지 같은

#꼬투리열매( #협과)가 검은 갈색으로 익어서

이듬해 꽃이 필 때까지 열매가 붙어 있습니다.

#열매껍질( #과피)에는 폭 1.5~2mm 정도의 날개가 있으며,

#꼬투리열매( #협과)는 길이 7~12cm 정도입니다.

씨앗은 황갈색이며

길이 7~8mm, 너비 4mm 정도이고

편평한 길둥근꼴(타원형)입니다.

▶( #용도, #경제성, #시장성, #이용 방안, #쓰임)

박태기나무의 꽃은

잎이 나기 전에 화려하게 피는 꽃 모양과

기후와 토질의 제약을 별로 받지 않기 때문에

세계적인 정원수로 널리 보급되어 있습니다.

박태기나무는 봄에 피는 진홍빛 꽃이 화려하고 색깔이 독특하면서,

하트모양의 잎까지 관상 가치가 높아서,

우리 주변에 정원수, 공원수로 인기가 높은 나무입니다.

박태기나무는 주택 조경, 아파트 조경에

관목울타리로 이용합니다

때로는 큰 용기나 화분에 심어 관상용으로 즐기기도 합니다.

박태기나무는 염료 식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 특히 구리에 대한 반응이 뛰어나다고 합니다.

 

***************

아래를 클릭하여 동영상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RWeWv2buqA

*****************************************

▶유튜브 나무 도감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hXth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