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도감 공부

동백열매로 무엇을 할까? : 동백기름(동백유)의 특징과 용도 : 올레인산(oleic acid), 화장품 원료. 고지혈증, 아기 성장

박승철 나무 도감 2025. 2. 20. 07:30

0399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 #冬柏, #뜰동백나무, #산다화, #山茶花, #춘유, #椿油, #산다수, #山茶樹, #산다과, #山茶果, #궁분다, #宮粉茶, #포주화, #包珠花, #춘학단, #椿鶴丹, #만다라수, #曼陀羅樹, #해홍화, #돔박낭(제주), #동박낭(제주), #산다목) #차나무과

{피부에 흡수가 잘 되고 보습효과가 뛰어난 : 동백기름}

{변질되지 않고, 굳지 않는! : 동백기름}

{동백나무열매로 무엇을 할까?}

{동백나무열매의 특징과 용도}

{동백나무기름의 특징과 용도}

{고지혈증, 아기 성장에 좋다는 : 동백기름}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동백기름(동백유)의 특징과 용 ★★★

▶ ( #열매)

동백나무의 열매는 3개의 구획으로 갈라진

방이 3개이고, 9월~10월에 익습니다.

튀는열매(삭과)의 두껍고 딱딱한 #열매껍질( #과피)이

3갈래로 터져서 갈라지면서

길이 15~20mm 정도 크기의 암갈색 씨앗이 튀어나옵니다.

열매 하나에 3~9개의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

▶ ( #동백기름 #동백유의 #용도 #특징)

동백나무 #씨앗에는 35~45%의 #기름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동백기름( #冬柏油)은 동백나무 씨앗에서 얻을 수 있는

맑은 노란색 기름입니다.

비슷한 기름인 들기름은 쉽게 변질이 되지만,

동백기름은 오랫동안 보관하여도 산패되지 않아 #변질되지 않고

#돼지기름처럼 #굳어지지도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 동백기름은 병에 담아 마개를 열어 놓아도 #날아가지 않으며

좀처럼 #마르지 않는다는 훌륭한 기름으로 칭송이 자자한 기름입니다.

동백기름은 가열하여도

연기가 적게 나고, 타지 않아 요리에 사용하기 좋은 기름이면서

들기름이나 참기름과 같이 매우 고소한 향기도 가지고 있습니다.

동백기름을 냉장 보관하면 기름이 굳지만,

상온에 내 놓으면 다시 녹게 됩니다.

그래서 동백기름을 #올리브유 대용으로 #식용하기도 하고,

#등잔기름, 고급 #정밀기계에 #공업용 기름 등

다양한 용도로 쓰이고 있는 기름입니다.

동백기름은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보습 효과가 뛰어나

화장품 원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동백기름은 여인들이 #목욕#영양크림이나

#머릿결을 윤기 나고 단정하게 만들어주는

#머릿기름으로 많이 사용하였으며,

동백기름은 #모발이 잘 빠지거나, 모발의 끊김이나 갈라짐,

또는 가려움증을 비롯하여 각종 #피부병의 #염증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기름입니다.

#동백기름(동백유)은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의 수치를 감소시켜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며

고지혈증 환자에게 특히 유익하여 아기의 성장에도 도움을 줍니다.

#동백기름(동백유)은 #올레인산(oleic acid)을 비롯한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므로,

동백기름을 #식용하면 건강에도 좋고, 영양가도 매우 높다고 합니다.

동백기름에는 비타민 E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여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 ( #어원, #학명, #속명, #종명, #유래)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카멜리아 자포니카

◇ 동백(冬柏)이라는 이름은

한자로 겨울 동(冬)자와 측백나무라는 측(柏) 자를 씁니다.

한자의 뜻 그대로,

동백은 하얀 눈이 소복이 쌓여 있는 매섭게 추운

#겨울(冬)에도 화려하고 아름다운 꽃이 피면서,

#측백(柏)나무처럼 사철 푸른 초록색의 잎이 반짝반짝 #광택이 나는

매력이 넘치는 나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 동백나무의 #속명 #카멜리아( #Camellia)는

지금의 체코의 전신인 #모라비아왕국 태생의 목사이면서, 약사이고

필리핀 선교사였던 게오르그 요셉 카멜(Georg Joseph Kamel 1661~1706)이

일본을 여행할 때 동백꽃의 매력에 심취하여

영국에 이 동백나무를 소개하고 전파한 사람인데,

그의 이름 Kamel을 라틴화해서

#Camellus가 카멜리아(Camellia)로 명명되었다고 합니다.

#종명 #자포니카( #japonica)는

1753년 린네(Carl Linnaeus)에 의해 이 종명이 부여되었습니다.

학명에 들어 있는 #자포니카( #japonica)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동백나무는 일본이 원산지가 아니라 중국이 원산지입니다.

동백은 중국이 원산지이지만

유럽에 소개될 당시 일본을 통해 전해졌기 때문에

japonica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 ( #원산지, #분포, #자생지, )

동백나무의 #자생지는 #중국의 윈난성, 산둥성, 저장성 동부와 #타이완,

#일본의 남부지방인 혼슈,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를 비롯하여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경기도, 충청남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및 제주도의 #남해와 #서해의 #섬지방과

바다 가까운 산지에 주로 자생하고 있습니다.

동백나무는 #해발 300~1,100m의 숲에서 자생하고 있습니다.

▶ ( #생육환경, #재배 특성)

동백나무는 #바닷바람과 #소금기에 매우 강하고 튼튼한 나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쪽 지방 #해변에 분포하여 살고 있으며

#섬지방의 #조경에 적합한 나무입니다.

동백나무는 추위에 약하여 한겨울에도 영상 5℃ 이상 돼야

겨울을 날 수 있기 때문에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어렵고

도시의 공해를 버티는 힘은 그리 강하지 못합니다.

#토양은 약산성으로 물이 잘 빠지고

#토심이 깊은 사질양토에서 잘 자랍니다.

어려서는 #그늘에서도 잘 견디지만,

자라면서 햇볕을 좋아하는 나무로 변합니다.

동백나무는 #생장 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수명이 길어서 수백 년을 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식력이 약해서 옮겨심기가 힘든 나무입니다.

▶ ( #번식 방법)

동백나무는 #씨앗을 #파종하거나 #꺾꽂이 방식으로 번식합니다.

3~4월 6-8월에 가지를 꺾꽂이하거나

#잎눈꺾꽂이( #엽아삽목)을 하기도 하며,

꺾꽂이가 어려운 품종은 #호접(呼接)으로 #접목합니다.

▶ ( #생육 형태, #크기, #키, #줄기, #나무껍질, #수피, #가지)

동백나무는 높이 2~7m 정도 자라는

#늘푸른( #상록) #작은키나무( #소교목)입니다.

때로는 #원줄기( #주간) 아래쪽에서 많은 가지가 나와

#떨기나무( #관목)처럼 자라는 것도 많습니다.

#나무껍질은 매끄러운 회갈색으로 갈라지거나 터지지 않으며

어린가지는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점차 회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겨울눈은 긴 길둥근꼴(장타원형)입니다.

▶ ( #꽃)

동백꽃은 대부분의 식물이 꽃이 지고 없는

11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여, 1~4월에(4월에 가장 많이 개화)

정열적인 빨간색의 #쌍성꽃( #양성화)이

#잎겨드랑이( #엽액)나 가지 끝에 1개씩 달려 핍니다.

#꽃잎은 활짝 펼쳐지지 않고, 수줍은 듯 피다 말고 반 정도 벌어집니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길이 1~2cm로서 #달걀꼴( #난형)의 원형입니다.

#꽃잎은 5~7개가 밑에서 붙어 있으며,

길이 3~5cm로서 다소 두툼한 편입니다.

#수술은 90~100개가 아래쪽이 서로 붙어있는

기둥처럼 동그랗게 모여 있는 #합생수술( #(合生雄蘂))이며,

수술은 잎과도 서로 #붙어 있습니다.

수술대의 밑부분에 달콤한 #꿀( #화밀 #花蜜)이 듬뿍 많이 고여 있습니다.

아이들이 동백꽃을 따서 꿀을 쪽쪽 #빨아 먹기도 할 정도지만,

#양봉을 위한 #밀원식물로서의 가치는

추운 날씨로 벌들이 활동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 크지 않다고 합니다.

#수술대는 흰색이고 #꽃밥은 노란색이며,

#씨방에 털이 없고,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집니다.

동백꽃을 위에서 보면

붉은 바탕 꽃잎에 순백색 흰 수술대가 있고,

그 끝에 노란 꽃밥을 달고 있는 세 가지 빛깔의 조화가 돋보입니다.

#꽃자루( #화경)는 너무 짧아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 ( #잎)

동백나무의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길둥근꼴( #타원형) 또는 달걀 같은 타원형이며( #난상타원형)이며,

#잎끝( #엽두)은 #점첨두이고

#잎밑( #엽저)은 #넓은뾰족꼴밑( #광예저)이며

잎 가에는 #물결모양의 #잔톱니가 있습니다.

잎은 길이 5~10cm, 나비 3~6cm의 #가죽질( #혁질)입니다.

잎표면은 짙은 초록색으로 #광택이 있고 잎뒷면은 밝은 초록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5~10mm로서 잎 양면에 털이 없습니다.

▶ ( #열매)

동백나무의 열매가 다 익으면

씨앗이 저절로 튀어나오는 #튀는열매( #삭과)이며,

지름 3~4cm 정도 크기의 #공모양( #구형)으로

초록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익어갑니다.

열매는 3개의 구획으로 갈라진 3실이고, 9월~10월에 익습니다.

튀는열매(삭과)의 두껍고 딱딱한 #열매껍질( #과피)이

3갈래로 터져서 갈라지면서

길이 15~20mm 정도 크기의 암갈색 씨앗이 튀어나옵니다.

열매 하나에 3~9개의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

***************

아래를 클릭하여 동영상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AT9kOwcVdBY

 

*****************************************

▶유튜브 나무 도감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hXth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