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엽나무의 험상궂은 가시와 달콤한 열매 : 주엽나무 vs 민주엽나무
1112 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 #주염나무, #쥐엄나무, #조각자( #皁角刺), #조협자( #皁莢子), #조협목 ) #콩과
1113 #민주엽나무 Gleditsia japonica f. inarmata ( #민주염나무) 콩과
{무시 무시한 험상궂은 가시와 조청처럼 달콤한 열매 : 주엽나무}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펴서
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
주엽나무
주엽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의 남동부 지방과 #만주 지방,
#일본 혼슈 이남 지역에도
분포하여 살고 있는 나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산기슭의 #계곡이나
#하천 가장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나무입니다.
주엽나무는 #건조한 #토양에서는 생장이 불량하며
#습기가 있는 #기름진 토양에서 잘 자란다고 합니다.
#공해에도 잘 견디며, #추위에도 잘 버티지만,
#생장속도는 느린 편이라고 합니다.
주엽나무의 완전히 익은 열매 #속껍질( #내피) 속에는
#조청처럼 #달콤한 #맛이 나는
끈끈한 #잼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을 #주엽이라 하여
이름이 주엽나무가 되었다고 합니다.
주엽나무를 #쥐엄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는데
이유는 #인절미를 송편처럼 빚고
팥소를 넣어 콩가루를 묻혀낸 #쥐엄떡에서 유래된 말로,
주엽나무의 익은 열매 속에 끈끈한 잼 같은 것에서
#조청처럼 #달콤한 #맛이 나기 때문에
쥐엄떡과 비슷하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 같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주엽나무는 #높이 20m 정도 자라는
#갈잎( #낙엽) #큰키나무( #교목)입니다.
#줄기에서 5cm 이상의
적갈색의 크고 굵은 딱딱한 #가시가 발달합니다.
그 가시에서 다시 가시가 나와 #분지하며 #갈라집니다.
가시의 #횡단면이 납작한 #타원형이면 주엽나무이고,
횡단면이 #원형이면 #조각자나무라고 합니다.
꽃은 #수꽃만 피는 나무가 따로 있고
#쌍성꽃( #양성화)이 피는 나무가 따로 있는
#암수딴그루이거나,
#수꽃과 쌍성꽃이 함께 피는 #다성꽃( #잡성화) 형태의
#암수한그루입니다.
#꽃은 6월에 길이 10~15cm의
#작은꽃자루( #소화경)가 없는
#이삭꽃차례( #수상화서)에
지름 5~6mm 정도의 황록색 꽃이 달립니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각각 5개이며
#수술은 6~13개이고 길이 4~5mm로 녹색이고,
#수술대에 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달리는 #깃꼴겹잎( #우상복엽)이며,
길이가 12~22cm 정도입니다.
#짝수깃꼴겹잎( #우수우상복엽)에는
보통 #작은잎( #소엽)이 5~10쌍 정도 달립니다.
#작은잎은 #비대칭의 #달걀같은타원형( #난상길둥근꼴)
또는 #긴타원형( #장타원형)이며,
작은잎은 길이 2~5cm, 폭 3cm 정도입니다.
#잎가장자리에는 #물결모양( #파상)의 #톱니가 있습니다.
#잎줄기( #엽축) 표면에는 #홈이 있고
약간의 #털이 있습니다.
#꼬투리열매( #협과)는 길이 20~30cm 정도이며
비틀려서 꼬이며 10월에 흑갈색으로 익습니다.
#씨앗은 길이 1cm 정도이며 흑갈색입니다.
주엽나무 #씨앗은 #무게가 일정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옛날에는 무게를 다는
#저울추로 이용하였다고 합니다.
주엽나무 씨앗 하나의 무게가 200mg(0.2g)으로
#귀금속이나 #다이아몬드 같은 #보석 등의 무게를 잴 때
200mg을 1#캐럿( #Carat)이라 하는 것도
주엽나무 씨앗의 무게를 기준으로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주엽나무는 #공해에 강한 나무이면서
#공기정화 #효과가 뛰어나고
#도시환경에 잘 적응하여 #가로수나 #조경용으로
#그늘을 제공하는 나무로 적합한 나무입니다.
봄에 주엽나무의 #어린잎을 따서
데쳐 #나물밥을 지어먹기도 하였다고 하며,
열매의 #껍질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비누대용으로 쓰였다고 합니다.
주엽나무의 #목재는 #장밋빛을 띤
아름다운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각종 #기구를 만드는 재료, #건축재료, #수공예품을
만드는 재료 등으로 쓰이나
현재는 #가구나 #목공예를 만드는
재료로 많이 쓰인다고 합니다.
한방에서 주엽나무의 #씨앗을
#조협자( #皁莢子)라 하는데
#중풍으로 #입이 돌아간 데,
심한 #피부병에 #약재로 쓴다고 합니다.
그러나 #독성이 있는 약재이므로
주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동의보감에서 주엽나무 가시를
#조각자( #皁角刺) 또는 #조협자( #皁莢子)라고 하여
약재로 쓴다고 하였습니다.
아래를 클릭하여 동영상 강의를 볼 수 있습니다.

#이삭꽃차례 #수상화서 #술모양꽃차례 #총상화서 #가시 #다성꽃 #잡성화 #수꽃 #쌍성꽃 #양성화 #암수한그루 #암수딴그루 #수술대 #씨방 #밑씨 #소화경 #작은꽃자루 #꼬투리 #꼬투리열매 #협과 #씨앗 #달콤한 #잼같은 #속껍질 #열매껍질 #꽃잎 #꽃받침조각 #암술머리 #암술대 #씨방 #중심맥 #곁맥 #비대칭 #가시횡단면 #납작 #긴길둥근꼴 #장타원형 #원형 #엽축 #잎줄기 #비틀린다 #꼬인다 #다이아몬드 #균일
*****************************************
▶유튜브 나무 도감 무료 구독하기 https://bit.ly/3hXthc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