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벚나무 vs 왕벚나무 이렇게 달라요! : 꽃대축(화서축), 열매자루축(과경축), 샘물질(선체), 백두대간.
0638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 #사젠트벗나무, #산벗나무, #왕산벚나무, #홍산벚나무, #큰산벗나무, #앵피, #櫻披, #야앵화, #Sargent’s_cherry, #North_Japanese_Hill_Cherry) #장미과0630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장미과0632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 ascendens ( #화엄벗나무. #붉은올벗나무) 장미과0640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 #벗나무. #참벗나무) 장미과{산벚나무 vs 왕벚나무 : 꽃은 이렇게 달라요!}{산벚나무 vs 왕벚나무 : 이렇게 달라요!}{산벚나무 vs 왕벚나무 : 무엇이 서로 다를까?}'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
진달래 vs 산철쭉 : 비슷하지만 이렇게 달라요! : 두견새와 진달래의 억울하고 원통한 전설 : 연달래, 진달래,
1681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 #진달내. #왕진달래. #진달래나무, #참꽃, #타퀘진달래, #두견화, #杜鵑花 . #신달레낭, #신달위, #홍두견, #紅杜鵑, #백두견, #참꽃나무(전남화순), #백화두견, #영호두견, #전기꼿(제주), #만산홍, #산척촉, #山擲囑, #두견화채, #杜鵑花菜, #Jindalrae, #Korean_Rosebay, #Korean_rhododendron) #진달래과1688 #산철쭉 Rhododendron yedoense f. poukhanense ( #개꽃나무. #물철쭉) 진달래과1686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 #철쭉나무. #참철쯕) 진달래과{비슷하지만 이렇게 달라요! 진달래 vs 산철쭉}{두견새..
가지를 꺾어주면 훨씬 더 탐스러운 꽃이 피는 이유? : 웃자람가지(도장지, 徒長枝) : 진달래의 어원과 학설, 식물이름에 ‘참’이 붙은 이유?
1681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 #진달내. #왕진달래. #진달래나무, #참꽃, #타퀘진달래, #두견화, #杜鵑花 . #신달레낭, #신달위, #홍두견, #紅杜鵑, #백두견, #참꽃나무(전남화순), #백화두견, #영호두견, #전기꼿(제주), #만산홍, #산척촉, #山擲囑, #두견화채, #杜鵑花菜, #Jindalrae, #Korean_Rosebay, #Korean_rhododendron) #진달래과1686 철쭉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철쭉나무. 참철쯕) 진달래과{가지를 꺾어주면 훨씬 더 탐스러운 꽃이 피는 이유?}{가지를 똑 꺾어주면? : 진달래}{가지를 똑 꺾어주세요 : 진달래}{먹을 수 있는 꽃이므로 ‘참’꽃}{철쭉보다 진한 꽃이 피므..
목련의 별명과 학명 : 목련 vs 백목련 : 쪽꼬투리열매(골돌), 꽃턱(화탁), 겉씨껍질(외종피), 열매껍질(과피),
0242 목련 Magnolia kobus ( #木蓮, #코브스목련, #코브시목련, #고부시목련, #コブシ, #산목련, #신이, #幸夷, #생정, #生庭, #옥란화, #玉蘭花, #옥란, #옥수, #개목련, #목란, #木蘭, #목필, #木筆, #두란, #목남(제주), #향린, #香鱗, #고시부(전남 완도), #신치, #辛雉, #목필, #북향화, #北向花, #Mokryeon, #Kobus_magnolia, #Thubers_Magnolia, ) #목련과0243 #백목련 Magnolia denudata (흰가지꽃나무) 목련과{나무에 피는 연꽃 : 목련(木蓮)}{꽃향기가 맵다? : 신이(幸夷)}{행복해지는 꽃향기 : 신이(幸夷)}{꽃향기가 맵고 강한 : 신이(幸夷)}'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
올괴불나무 VS 길마가지나무 : 이렇게 달라요! : 올괴불나무의 특징 : 물열매, 장과, 이생, 합생,
2007 올괴불나무 Lonicera praeflorens ( #올아귀꽃나무, #금은인동, #金銀忍冬, #조화인동, #早花忍冬, #짜오화렌둥, # Early_blooming_honeysuckle) #인동과2008 #길마가지나무 Lonicera harae ( #길마기나무, #길막이나무, #길마가지, #숫명다래나무, #바지딸기, #꼬리볼레(제주 서귀포), #Early_blooming_ivory_honeysuckle) #인동과{올괴불나무 VS 길마가지나무 : 이렇게 달라요!}{비슷하지만, 이렇게 달라요 : 올괴불나무 VS 길마가지나무}{올괴불나무 VS 길마가지나무}'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올괴불나무 #정보 ★★★..
회양목에 얽힌 무서운 전설과 속담 : 아프로디테의 남성의 생식 기능을 빼앗는 무서운 보복! : 회양목 이름의 유래, 학명의 어원.
1323 회양목 Buxus sinica ( #淮陽木, #회양나무. #도장나무, #고양나무, #고양목, #구슬회양목, #황양목, #黃楊木, #黃楊, #Korean_box_tree, #Chinese_Box, #small_leaved_box, #Korean_Littleleaf_Boxwood, #boxwood, #box_tree, #buxus, #the_boxwood_tree) #회양목과{남성의 생식 기능을 빼앗아 버리는 무서운 보복을 했다는 나무!}'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라고 하는 책을 펼쳐서저자 #박승철이 직접 '나무 도감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회양목 #정보 ★★★회양목 Buxus sinica #회양목과▶( #학명, #어원, #속명, #종소명, #명명자, #변종, #품종, #유래) ..
산수유의 특징과 효능 : 산수유 vs 생강나무 : 최고 정력 강장제, 꽃차례받침(총포), 꽃가루주머니(약실), 2년발아씨앗
1627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 #산수유나무, #산시유나무, #山茱萸, #야춘계, #野春桂, #춘황금화, #春黃金花, #추산호, #秋珊瑚, #석조, #石棗, #촉조, #蜀棗, #촉산조, #蜀酸棗, #육조, #肉棗, #수유, #산채황, #山菜黃, #실조아수, #實棗兒樹, #촉산조, #蜀山棗, #홍조피, #紅棗皮, #계족, #鷄足, #서실, #鼠實, #대학나무, #Korean_cornelian_dogwood, #Officinalis_Dogwood, #Cornus_fruit, #corni ) #층층나무과0286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 #아귀나무, #아구사리) #녹나무과{힘의 원천이며 최고 정력 강장제!}{처녀의 입으로 발라낸 이것이 남자 정력에 최고! }{3그루..